섬·산간 지역이 비만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 국민의 비만율을 행정구역별로 비교한 결과 인천 옹진군의 비만율이 47.21%로 가장 높았으며 반대로 비만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 서초구(32.1%)로 알려졌다.
대중교통이 발달하지 않은 산간 도서 지역의 비만율이 다소 높았고, 비교적 소득·생활 수준이 높은 지역 비만율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05∼2015년에 1차 일반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 성인의 체질량지수 정보 등 빅데이터 1억3천만건을 분석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지난 6일 공개했다.
2015년 기준 비만 유병률은 269개 시군구 중 인천 옹진군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강원도 인제군(46.21%), 강원도 양구군(46.14%), 강원도 철원군(46.1%), 경기도 연천군(45.48%) 등의 순으로 알려졌다. 전체 평균은 33.2%으로 호가인됐다.
인천 옹진군은 2005년 이후 10년 동안 비만율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으로도 알려졌다.
옹진군의 비만율은 이 기간 13.13%p나 상승했는데 이는 같은 기간 경기 연천군(8.69%p), 경남 함양군(8.16%p), 경남 거제시(8.08%p), 경남 곡성군(7.54%p) 등의 증가율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를 보였다.
반면 비만 유병률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 서초구.
이어 서울 강남구(32.19%), 성남 분당구(32.22%), 경기 과천시(32.74%), 창원 성산구(33.7%) 등의 비만 유병률도 낮은 편으로 알려졌다.
17개 광역 시도별로 구분하면 제주특별자치도(42.09%)의 비만율이 가장 높고, 강원도(41.55%), 인천(38.73%), 전남(38.27%) 등의 순.
반면 대구(35.03%), 경남(35.46%), 서울(36.16%) 등의 비만율은 낮은 편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에서는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BMI)가 25㎏/㎡ 이상인 대상자를 비만으로 보았다.
BMI가 30㎏/㎡ 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나누었다.
2015년 고도비만 유병률은 경북 울릉군이 10.21%로 가장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고도비만 유병률이 두자리수인 행정구역은 울릉군이 유일하게 확인됐다.
울릉군은 2005년까지만 해도 고도비만율이 3.42%로 전체 269개 시군구 가운데 140위로 평균 수준이었으나 최근 10년 사이 유병률이 6.79%p나 높아졌다.
고도비만율 증가폭으로는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고도비만 유병률은 울릉군과 함께 인천 옹진군(9.2%), 강원 철원군(8.99%), 강원 화천군(8.9%), 강원 인제군(8.62%) 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성남 분당구(4.2%), 서울 서초구(4.25%), 경기 과천(4.26%), 서울 강남구(4.31%), 창원 성산구(4.55%) 등이 낮았다.
17개 광역시도별로 구분한 고도비만율은 제주특별자치도가 7.34%로 가장 높고 강원도 7.26%, 인천 6.59% 등의 순.
허리둘레가 남자 90㎝, 여자 85㎝임을 뜻하는 ‘복부비만’의 유병률은 충청남도 논산(25.8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25.73%), 강원도 화천군(25.66%) 순으로 높게 측정됐다.
[사진=MBN 뉴스화면 캡처]
/장주영기자 jjy033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