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거주하는 여성이 전체 여성 평균보다 키는 크고 몸무게와 허리둘레는 작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3∼2014년 1,870만명의 20세 이상 성인 및 210만명의 영·유아 건강검진 수검자 자료를 분석해 28일 공개한 ‘국가건강검진 신체계측 데이터’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여성 가운데 키가 160㎝ 이상인 여성의 비중은 38.1%였다. 이는 전국 전체 여성 중 키가 160㎝ 이상인 비율(33.8%)보다 4.3%포인트 높은 수치다.
서울 거주 여성은 키는 컸지만 몸무게와 허리둘레는 작았다. 서울에 사는 여성 중 몸무게가 60㎏ 이상, 허리둘레가 80㎝ 이상인 비중은 각각 32.4%, 32.7%로 전국 여성 평균(34.0%, 35.3%)보다 1.6%포인트, 2.6%포인트 낮았다.
영·유아의 신체계측 데이터를 살펴보면 12개월 남아의 평균 신장은 77.1㎝, 체중은 10.3㎏, 머리 둘레는 46.4㎝로 파악됐다. 같은 개월 수인 12개월 여아의 평균 신장은 75.5㎝, 체중은 9.6㎏, 머리 둘레는 45.2㎝로 남아보다 체격이 작은 편이었다.
공단은 성인의 신체 계측 현황을 ‘참조표준’으로 등록할 계획이다. 참조표준은 공산품의 ‘KS마크’와 같이 국가 인증이 부여된 데이터를 뜻한다. 공단 관계자는 “그동안 선진국에 의존했던 표준 데이터를 한국인의 특성에 맞게 생산해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며 “이 데이터는 산업 분야의 데이터 생성 비용 및 중복 투자 비용 절감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는 국민건강보험 자료 공유 서비스(nhiss.nhi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지훈기자 jhlim@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