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이나 추락·교통사고 등으로 다친 아동의 수가 최근 8년간 7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국민건강과 안전을 위한 아동안전전략 구축방안(책임연구원 김미숙 연구위원)'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119구급대에 들어온 아동 '손상' 발생 건수는 지난 2014년 6만9,817건으로 집계됐다. 아동인구(0~17세미만) 10만명당 '손상' 발생률은 751명으로 2006년 439명에서 71.1%나 늘었다.
이는 최근 어린이 안전사고 사망자가 줄어드는 추세와는 정반대다. 인구 10만명당 어린이 안전사고 사망자 수는 2008년 6.01명에서 2014년 2.93명 등으로 급감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아동안전 정책이 안전사고 사망감소에 초점을 두면서 안전사고로 초래된 손상에 대한 예방이나 조치에는 주력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결과"라며 "아동안전정책의 기조가 바뀔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co.kr
2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국민건강과 안전을 위한 아동안전전략 구축방안(책임연구원 김미숙 연구위원)'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119구급대에 들어온 아동 '손상' 발생 건수는 지난 2014년 6만9,817건으로 집계됐다. 아동인구(0~17세미만) 10만명당 '손상' 발생률은 751명으로 2006년 439명에서 71.1%나 늘었다.
이는 최근 어린이 안전사고 사망자가 줄어드는 추세와는 정반대다. 인구 10만명당 어린이 안전사고 사망자 수는 2008년 6.01명에서 2014년 2.93명 등으로 급감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아동안전 정책이 안전사고 사망감소에 초점을 두면서 안전사고로 초래된 손상에 대한 예방이나 조치에는 주력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결과"라며 "아동안전정책의 기조가 바뀔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