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회장은 현대ㆍ기아차가 중국내 양산체제를 늘리면서 양국간 경제협력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어 특별히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해 이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일정상 참석하지 못해 이번에 경제사절단으로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중국 베이징시 순위구에 1, 2공장을 가동 중이며, 연말 40만대 규모의 3공장이 완공되면 연간 100만대 생산체제를 갖추게 된다. 기아차는 상하이 인근에 현재 43만대 규모의 공장을 갖추고 있고, 연말 3공장을 착공해 2014년까지 73만대 생산이 가능해진다. 현대차는 지난해 목표한 72만대, 기아차는 43만대를 각각 초과해 점유율을 10%에 육박하게 끌어올렸다.
정 회장은 국빈 만찬에 앞서 베이징 현대차 중국 3공장 현장을 방문해 공장 건설 진척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