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중근 의사를 기리는 활동을 하다가 중국 공산당 정권의 탄압으로 40여년간 옥살이를 해야 했던 안 의사의 5촌 조카며느리 안로길(97) 할머니가 현재 중국에 생존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중국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끝끝내 중국 국적을 거부한 안 할머니의 당찬 삶의 태도는 올해 안 의사의 ‘하얼빈 의거’ 100주년을 맞아 추모열기가 높아지면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현재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난강구 안산가에 살고 있는 안 할머니의 삶은 굴곡진 우리의 근대사만큼이나 파란만장했다. 17세에 안 의사의 사촌동생인 홍근(洪根)씨의 3남 무생(武生)씨와 결혼한 안 할머니는 결혼 14년 만인 지난 1944년 일제에 의해 남편을 잃었다. 안 할머니는 이때부터 원래 차(車)씨였던 성을 안(安)씨로 바꾸고 안 의사의 독립활동을 알리기 시작했다. 남편이 사망한 뒤 하얼빈으로 이주한 안 할머니는 일본이 물러간 뒤에도 삯바느질로 연명하며 손수 태극기를 만들어 집에 걸어놓고 독립군을 상징하는 군복에 별을 새긴 모자를 쓰고 다니는 등 안 의사의 공적을 세상에 알리는 일을 그치지 않았다.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선 뒤 좌우 이념대립이 극심했던 1950년대 냉전체제하에서도 안 의사를 기리는 안 할머니의 행동은 거침이 없었다. 이적행위 단속과 종교 탄압이 거셌던 1958년 안 할머니는 하얼빈역 광장과 하얼빈 다오리구 공안분국 앞에서 태극기와 안 의사의 초상화를 앞세우고 1인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당시 적대국이었던 대한민국의 국기를 흔들며 시위를 벌인 안 할머니를 중국은 1958년 1월 긴급 체포해 반혁명죄로 무기형을 선고, 옥고를 치렀지만 감옥에서도 안 할머니는 치마 실오라기를 풀어 태극기를 만들어 감옥에 걸어놓는가 하면 독립군복과 모자를 만들어 입고 쓰기를 고집했다. 안 할머니의 저항에 지친 중국 측은 결국 직접적 단속은 포기, 그를 1972년 네이멍구의 오지 전라이 노동교화 감옥농장로 보내 6년간 강제노역을 시켰다. 안 할머니는 1978년 이 감옥농장에서 풀려났지만 사회 진출이 막혀 계속 감옥농장에서 일해야 했다. 중국 내 개혁 개방 바람이 불고 한국과의 수교가 이뤄진 뒤에도 억압 상태에 있었던 안 할머니는 1998년 9월에야 비로소 86세의 나이에 완전한 자유를 얻을 수 있었다. 그는 여전히 중국 인민이기를 거부하고 있다. 북한과 중국 간 협정에 따라 재중 동포들에게 중국 국적을 부여할 때 호구(호적)를 찢어버리기도 했던 안 할머니는 호구에 올리는 이름으로 천주교 세례명을 고집하며 본명을 밝히지 않았다. 중국 당국은 하는 수 없이 ‘안누시아’로 불리던 그녀의 세례명을 중국어로 음역해 ‘안로길’이라 이름 지어 일방적으로 호구에 올렸다. 뒤늦게 그의 출옥 사실을 알게 된 친척들은 한국 당국이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라고 있다. 안 할머니의 시조카인 정덕재(71ㆍ랴오닝성 선양 거주)씨는 “100세를 앞둔 외숙모가 지금 뭘 더 바라겠느냐”며 “평생을 바쳐 갈구했던 조국이 나서는 모습만 보여줘도 반평생 얽힌 그녀의 응어리를 풀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