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을 앞두고 한국인들에게 인기 높은 인도네시아 발리의 주요 관광지들이 광견병 위험지역으로 지정됐다.
22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현지 보건당국은 광견병 전파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경고했다. 이달 들어 여러 마을에서 개 1~2마리가 광견병 양성 반응을 보이면서 남부 바둥군 쿠타 일대를 비롯한 주요 관광지가 적색구역으로 지정됐다.
현지 규정상 단 한 마리의 감염 사례가 확인돼도 해당 지역은 곧바로 광견병 유행지역으로 분류되며 긴급 방역이 이뤄진다.
당국은 특히 바둥군 탄중브노아, 짐바란, 누사두아 등 외국인 관광객이 자주 찾는 지역을 중심으로 백신 접종을 대대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브라흐미 위타리 바둥군 동물보건국장 직무대행은 "사례 수 자체는 적지만, 유기견이 많은 상황에서 감염 확산 위험은 크다"고 우려를 표했다.
발리섬 전체로 보면 올해 1~3월 사이에만 8801건의 동물 물림 사고가 발생했고 최소 6명이 광견병으로 숨졌다. 서부 젬브라나군에서는 올해 1~4월 동안 1900건이 넘는 사고가 집계됐다.
발리 보건 당국은 2008년부터 매년 백신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으나 접종률은 여전히 낮다. 발리 최대 도시 덴파사르에서는 7만 4000마리의 개 중 단 2.75%만이 백신을 접종한 것으로 집계됐다.
광견병은 감염되면 증상 발현 후 치사율이 100%에 가까운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그러나 예방접종을 미리 하거나 물린 직후 상처를 소독하고 빠르게 백신을 맞으면 치료가 가능하다.
발리 보건당국은 여행객들에게 유기견이나 원숭이 같은 동물과 접촉을 피하고 물리거나 긁힌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강력히 권고했다.
한편, 2019년에는 발리 킨타마니 지역에서 광견병에 걸린 개 3마리가 하루 동안 10명을 무는 사건이 발생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 150여 개국에서 수만 명이 광견병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이 중 약 95%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발생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