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무소속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가 3일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 “개헌의 큰 연대를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길을 모색할 것이고, 새로 뽑히는 분도 그렇게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후보는 이날 여의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정대철 헌정회장과의 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만날 생각인가’라는 질문에 “당연히 연락하고 축하 말씀도 전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후보의 답변은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되기 직전에 나왔다.
한 후보는 개헌을 고리로 한 빅텐트 구성에 대한 긍정적 의지를 직접 드러냈다. 그는 정 회장과의 환담에서 ‘반 이재명 빅텐트론’에 대해 “우리가 왜 특정인에 대해 빅텐트를 쳐야 하나”라며 “우리가 빅텐트라는 말을 쓸 수 있다면 그것은 개헌을 위한 빅텐트”라고 강조했다. 이어 “시대정신에 맞지 않는 헌법을 개정할 수 있는 빅텐트를 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의 세종 이전 문제에도 긍정적 뜻을 보였다. 그는 “기본적으로 개헌을 통해 세종시에 대통령실·입법부·사법부를 다 이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공식 공약으로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지난달 8일 새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이완규 법제처장, 함상훈 부장판사를 지명한 결정의 정당성도 재차 강조했다. 한 후보는 “헌법에 대통령 권한대행은 모든 권한을 대행한다고 돼 있다”며 “후보를 뽑는 절차를 시작하는 것이 의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 처장이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 대통령 안가에서 김주현 민정수석 등과 회동한 뒤 휴대전화를 교체한 것에 대해선 “휴대전화를 바꾼 것은 몰랐다”며 “휴대전화 바꾼 것 자체가 무슨 범죄행위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겨냥해 “모 정치인은 대법원이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을 했는데, 정해지진 않았으나 계속 대선 후보로 출마해야겠다고 하고 계시지 않나”고 직격했다.
한 후보는 전날 광주광역시 5·18 민주묘지를 찾았지만 시민단체의 반발로 참배를 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내며 “시간이 있을 때마다 자주 가겠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