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문재인 대통령의 ‘수능 절대평가 전환’ 대선 공약에 따라 절대평가 확대를 추진했지만, 수능개편안을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자 일단 한발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31일 교육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2021학년도 수능개편안’ 결정을 1년 유예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국민의 우려와 지적을 무겁게 받아들여 수능개편을 1년 유예하기로 했다”면서 “충분한 소통과 사회적 공론화, 연구 및 국가교육회의 자문 등을 거쳐 새 정부의 교육철학을 담은 종합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이야기했다.
한편, 적용 대상 화살은 현(現) 중3에서 중2로 돌아갔으며 교육과정은 그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해 현 중3은 교육과정과 수능 체제가 일치하지 않아 혼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소장은 “사실상 1년 유예라고 하는 것은 단계적 절대평가가 아니라 전면 절대평가로 갈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현재 중2는 대입 전략을 그에 맞추어 세우는 것이 유리하다”며 “또한 곧 결정이 되겠지만 내신 성취평가제의 향방에 따라 고교의 유형별 선택지도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박재영기자 pjy0028@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