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카카오(035720) 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행정 혁신으로 연간 70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아낀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는 20일 정부·공공기관의 카카오 서비스를 활용한 디지털 행정 혁신 사례를 담은 '공공혁신 리포트 2024'를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전국 233개 산하 행정기관에 카카오톡 기반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를 도입해서 문자메시지 발송 비용을 연간 40억 원 가량 절감하고 있다. 이 중 서울 노원구는 카카오톡 기반 체납 안내 서비스를 통해 재안내 포함 도달률 106%를 달성해 적극행정 우수 사례로 선정됐다.
서울시는 2021년 기준 카카오톡 기반 교통위반 과태료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로 우편 발송비용을 연간 13억 3000만 원 절감했다. 서울 강서구도 과태료 전자고지를 통해 2020년 연간 1억 5000만 원을 줄였다.
카카오 서비스는 행정 효율성도 높이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정신건강센터는 카카오헬스케어와 협력해 구축한 '마음건강 챗봇'으로 우울증 자가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소방청은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카카오톡 채널에 무료 응급 의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맵을 통해 초 단위로 버스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초정밀 버스’ 서비스를 지난해 11월 기준 21개 지역에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경찰청은 카카오모빌리티 동보메시지 시스템을 활용해 긴급 메시지 약 95만 5000건을 발송해 국민 편의를 높이고 접근성 강화에 기여했다.
임효창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의연구소 이사장은 "카카오는 디지털 약자를 포함한 모든 국민의 연결과 소통에 기여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정책도 지원하며, 공공혁신과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고 있다"고 말했다.
석재왕 건국대 안보재난관리학과 교수는 "카카오는 기술과 서비스의 고도화를 통해 지역, 연령, 인종, 학력 등과 무관하게 차별 없는 접근성과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정보 양극화 해소 및 실질적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데에 일조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공공 혁신이 보다 활발해지고, 플랫폼 이용자가 더 안전하게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