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에서 ‘수능 시험일에는 코스피가 하락한다’는 속설이 있지만 최근 흐름을 보면 꼭 들어맞는 이야기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 코스피 지수는 최근 10년간(2015∼2024년) 6번 상승하고 4번 하락했다.
2015년(-0.20%), 2017년(-0.13%), 2021년(-0.51%), 2022년(-1.39%)에는 지수가 떨어졌지만 2016년(0.05%), 2018년(0.97%), 2019년(0.79%), 2020년(0.76%), 2023년(0.06%), 2024년(0.07%)에는 상승했다. 비록 변동 폭은 크지 않았지만 상승한 해가 더 많았다.
다만 ‘수능날=코스피 하락’이라는 인식은 과거의 흐름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2006∼2015년 사이에는 2010년(1.62%)을 제외하고 수능 당일 코스피가 모두 하락했다. 최근 10년간은 등락이 엇비슷했지만 상승한 해에도 오름폭은 1% 미만에 그쳐 이 같은 속설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2023학년도 수능이 치러진 2022년 11월 17일에는 반도체 업황 둔화 우려로 외국인과 기관 매도가 이어지며 코스피가 1.39%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수능일 코스피 변동의 직접적 요인은 시험 자체가 아니라 ‘옵션 만기일’ 영향이라고 설명한다. 옵션 만기일인 매월 둘째 주 목요일에는 선물·현물 간 가격 차이를 이용한 차익거래 포지션이 청산돼 장 막판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11월에는 달력 구조상 수능일과 옵션 만기일이 겹치는 경우가 잦아 이런 현상이 반복된다는 분석이다. 올해 역시 수능일인 13일이 옵션 만기일과 같은 날이다.
한편 한국거래소는 수능일인 오는 13일 정규 주식시장 개장 시간을 평소보다 1시간 늦춘 오전 10시로 조정한다고 밝혔다. 파생상품시장은 오전 9시 45분에 문을 연다. 종료 시각 역시 1시간씩 늦춰진다. 일부 파생상품시장과 일반상품시장은 개장 시간만 1시간 연기하거나 거래시간 변경이 없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도 프리마켓을 운영하지 않고, 본장 거래를 기존보다 1시간 늦춘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20분까지 진행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oremi@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