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BNK금융의 차기 회장 선임 과정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관련 작업이 늦어지고 있다. BNK는 차기 회장 후보에 오를 롱리스트(1차 후보군)를 지난주 확정할 예정이었지만 이 원장의 지적에 이를 미뤘다.
27일 금융계에 따르면 BNK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23일 이 원장의 발언에 대한 진위 파악과 향후 회장 선임 절차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 원장은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BNK금융의 회장 선임 절차와 관련해 “특이한 면들이 많이 보인다”며 “절차적 하자 등 문제가 있을 경우 수시 검사를 통해 바로잡겠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금감원장이 특정 금융그룹의 회장 선출 과정에 개입하려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임추위는 국회 정무위 국감 종료에 맞춰 조만간 회장 선임 절차를 둘러싼 논란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힐 것으로 전해졌다. 입장문에는 일각에서 제기된 절차상 문제에 대한 설명과 함께 향후 임추위 일정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임추위는 20명 내외의 롱리스트로 후보군을 추린 뒤 면접과 세부 검증 등을 거쳐 다음 달 5명 이내의 쇼트리스트(최종 후보군)를 선정할 방침이다. 이후 최종 면접을 통해 연내 차기 회장 후보를 확정한다.
현재 금감원은 BNK금융에 대한 수시 검사 계획은 아직 없다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BNK금융지주(138930) 이사 선임과 관련한 수시 검사 계획은 잡혀 있지 않다”고 전했다.
이 원장도 이날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BNK금융을 포함한 금융지주 회장의 ‘참호’ 구축에 대해 어떤 시정 조치를 하고 있느냐’는 질의에 “구두 지도를 하고 있다”며 “다만 특정 금융지주만 하는 게 아니라 모든 금융지주사에 대해 공통적으로 모범 관행에 기초해 말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지난주 국감 당시 BNK금융을 겨냥해 수시 검사 가능성을 내비친 것과 비교하면 한발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im0123@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