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을 활용한 KT(030200) 소액결제 범행 시도가 수도권을 넘어 강원 강릉시까지 전방위적으로 이뤄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불법 펨토셀 수도 당초 알려진 것보다 크게 늘어난 가운데 이를 뒤늦게 파악한 KT 측의 부실 대응 논란이 한층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KT는 그동안 미흡했던 탐지 시스템을 보완했다면서도 향후 추가 피해가 발견될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서창석 KT 네트워크부문장은 17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 웨스트 사옥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브리핑을 열고 “불법 펨토셀 아이디(ID)가 기존 4개에서 16개가 추가로 발견돼 총 20개로 확인됐다”며 “추가로 발견된 펨토셀은 서울 동작구와 금천구, 경기 광명시와 안양시, 또 강원 지역에서도 결제 피해는 없지만 (불법 펨토셀에) 접속된 이력이 있다”고 밝혔다. 수도권과 가까운 강원 원주·춘천시는 물론 평창군과 횡성군, 또 동해안 지역인 강릉시까지 5곳에서 불법 펨토셀로의 가입자식별정보(IMSI) 접속이 총 91건 있었다.
이를 포함한 전체 IMSI 접속은 2만 3575건, 중복된 접속을 제외한 실제 접속자 수는 2만 2227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KT가 지난달 11일과 18일에 이어 또다시 바꾼 입장이다. KT는 사태 초기 고객 정보 유출이 없었다고 단언했지만 지난달 11일 5561명이 IMSI를 유출당한 정황을 인정했다. 일주일 후에는 이 숫자를 2만 30명으로 정정했는데 이마저도 틀려 2197명이 늘었다는 게 이날 발표 내용이다.
추가로 발견된 펨토셀 16개 중 1개가 실제 범행에 쓰였다. 이에 피해자는 동작·금천·광명·안양에서 6명이 발견돼 총 368명, 결제 건수도 13건 늘어난 777건으로 집계됐다. 약 2억 4000만 원의 피해액도 319만 원 추가됐다. 최초 유출은 이번 사태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지난달보다 1년 가까이 앞선 지난해 10월에 일어났던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불법 펨토셀 활동을 탐지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미흡했다는 점을 사과했다. KT는 당초 올해 6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약 3개월 간 자동응답시스템(ARS) 방식으로 불법 결제인증이 시도된 활동을 모니터링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관합동조사단 조사 과정에서 모니터링 기간을 지난해 8월 1일부터 13개월, 결제인증 방식도 ARS뿐 아니라 문자메시지(SMS)와 패스(PASS)까지 넓히고 나서야 불법 펨토셀을 더 찾을 수 있었다. KT는 “면밀히 조사하는 과정에서 탐지 로직을 단계적으로 정교화했다”며 “모니터링 시스템이 부족했다는 점 죄송하다”며 했다.
KT는 모니터링 시스템 개선을 통해 “13개월치 통신과금대행 결제내역 약 1억 5000만 건과 휴대폰과 기지국 간 접속 기록 4조 300억 건 등 모든 데이터를 전수조사했다”고 강조했지만 향후 추가 피해가 또다시 발견될 우려는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추가 피해가 없다고 확인할 수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KT는 “조직이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의 분석을 총망라했다”며 “(피해자를) 1명이라도 더 찾기 위해 오늘 새벽까지 노력했다”고만 답했다.
피해자의 개인정보 유출 경위는 여전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불법 펨토셀을 통해서는 ISMI와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전화번호 등 유심(USIM) 정보 3종만 유출 정황이 확인된 상태다. 해커가 실제 상품권을 구매하려면 유심 정보뿐 아니라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성별 등 개인정보가 더 필요하다. 또 불법 펨토셀이 정상 펨토셀처럼 KT 시스템으로 인증받고 통신망에 연동될 수 있었던 경위도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KT는 “경찰이 (피해자 단말기 대상) 1차 포렌식을 끝냈는데 (관련 단서가) 안 나와서 2차 포렌식 결과가 나와야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KT는 국회가 요구하는 피해자 위약금 면제 조치에 대해서는 여전히 검토해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영섭 KT 대표는 14일 국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불려나가 이번 사태와 관련한 부실한 대응으로 의원들로부터 질타를 받았다. 또 조사당국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가 부실한 신고로 조사를 방해했다고 보고 수사를 의뢰, 경찰이 내사에 착수했다. KT는 “정부 조사와 경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ookim@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