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 특징 유지하면서 가변적 공간 활용…미래 가능성 제시 [2024 한국건축문화대상]
            
        
     
    
        
            이전
            다음
            
                        
                            
                                
                                    
                                        ![한옥 특징 유지하면서 가변적 공간 활용…미래 가능성 제시 [2024 한국건축문화대상]](https://newsimg.sedaily.com/2024/10/30/2DFRQG56JY_1.png) 영남대학교 성시운 학생의 'Flexible Hanok' 전경. 기존 목조 구조의 미적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강화 콘크리트와 같은 현대적 재료를 사용해 건물의 내구성을 강화했다. 사진 제공=성시운 학생
                                    
                                    영남대학교 성시운 학생의 'Flexible Hanok' 전경. 기존 목조 구조의 미적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강화 콘크리트와 같은 현대적 재료를 사용해 건물의 내구성을 강화했다. 사진 제공=성시운 학생
                                 
                             
                         
                        
                            
                                
                                    
                                        ![한옥 특징 유지하면서 가변적 공간 활용…미래 가능성 제시 [2024 한국건축문화대상]](https://newsimg.sedaily.com/2024/10/30/2DFRQG56JY_2.png) 전통 한옥에 적용된 방과 방을 구분하는 고정된 벽과 달리 플렉시블 월은 벽 자체를 움직일 수 있어 공간 구성이 자유롭다. 사진 제공=성시운 학생
                                    
                                    전통 한옥에 적용된 방과 방을 구분하는 고정된 벽과 달리 플렉시블 월은 벽 자체를 움직일 수 있어 공간 구성이 자유롭다. 사진 제공=성시운 학생
                                 
                             
                         
                        
                            
                                
                                    
                                        ![한옥 특징 유지하면서 가변적 공간 활용…미래 가능성 제시 [2024 한국건축문화대상]](https://newsimg.sedaily.com/2024/10/30/2DFRQG56JY_3.png) 전통 한옥에서 중요한 생활 공간의 일부였던 마당을 지하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확장해 추가적인 생활 공간을 확보했다. 사진 제공=성시운 학생
                                    
                                    전통 한옥에서 중요한 생활 공간의 일부였던 마당을 지하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확장해 추가적인 생활 공간을 확보했다. 사진 제공=성시운 학생